MY MENU

연구자료실

제목

현대정신분석학의 이해 8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3.10.30
첨부파일0
추천수
2
조회수
4272
내용

 

8. 정신분석 패러다임 : 상호주관성이론 3

 

상호주관성과 분석 제3”(Analytic third)

 

Ogden(2004)은 환자의 정신 병리와 정신분석 상황에서 주관성(subjectivity)과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변증법적 상호관계>를 체계적으로 연구하였다.

 

그는 분석 상황에서 분석가와의 관계로부터 무관한 피분석자혹은 피분석자와의 관계로부터 무관한 분석가같은 경우는 결코 없다고 생각하였다. Ogden의 이런 생각은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무관한 유아는 결코 있을 수 없다Winnicott(1965)의 생각에서 비롯되었다.

 

아기-어머니 사이에 아기, 어머니, 그리고 아기-어머니 상호작용이라는 세 개의 실재가 있듯이, 분석상황에도 분석가, 피분석자, 그리고 분석가-피분석자 상호작용이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들은 각각 서로 변증법적인 관계를 맺는다고 생각하였다.

 

Ogden은 정신분석 상황에서 투사적 동일시(projective identification)를 통해 분석가와 피분석자 사이에 일어나는 변증법적 관계가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예시하였다.

 

투사적 동일시는 피분석자가 자신의 일부를 분석가에게 투사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그 결과 분석가는 이제 나와 무관한 타인이 아니고, 어느 부분에서 이다(You are me). 따라서 피분석자는 무의식적 환상 속에서 분석가와 연결성을 유지하고 조정하려 한다.

 

Bion이 지적하였듯이, 투사적 동일시는 여기서부터 한 사람의 심리내적(intra-psychic) 환상으로부터 두 사람 사이(interpersonal) 상호작용으로 진행된다. 그리고 분석가는 피분석자가 투사한 내용을 그대로 경험하게 된다.

 

분석가는 이제 투사적 동일시가 일어나기 전의 분석가가 아니라, 투사적 동일시를 통해 투사한 내용을 느끼고 경험하는 변화된 분석가이다. 그리고 변화된 분석가는 피분석자를 담아내거나 혹은 공격하는 등 변화된 분석가의 모습으로 관계를 맺게 된다.

 

또한 이러한 지지나 공격을 경험하는 피분석자는 이제 투사적 동일시가 일어나기 전의 그가 아니라 새로운 모습으로 변화된 피분석자이다. 이런 과정이 반복되면서, 즉 변증법적인 관계를 맺으면서 분석가와 피분석자는 새로운 주관성과 상호주관성을 계속 획득하게 된다.

 

이상의 예에서 보듯 변증법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투사적 동일시가 일어나는 과정은 분석가와 피분석자가 함께 생성해낸(co-created) 상호주관성의 세계이고 제 3의 주체(subject)이다.

 

Ogden은 분석가와 피분석자가 함께 생성해낸 상호주관성의 세계를 분석 제3”(analytic third)라고 이름 불렀다. 그리고 분석가와 피분석자의 개인주관성(subjectivity)이 분석 제3자와 변증법적 관계를 맺어가는 것이 분석이라고 주장하였다.

 

투사적 동일시가 가장 흔하게 일어나는 관계는 대상을 자신의 일부로 끌어들이고 조종하기를 원하는, 강력한 욕구를 가진 부모-자녀관계, 사랑과 우정의 관계이다. 좀 더 익숙한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상호주관성의 예를 들어 보면 다음과 같다.

 

이드심리학이나 자아심리학에서 한 여자는 한 남자의 욕동의 대상일 뿐이다. 극단적인 예로, 한 남자와 여자가 뜻하지 않은 장소에서 우연히 눈이 마주쳐 사랑이라는 환상으로 성관계를 가진 후 이름도 모른 체 헤어졌다고 하자.

 

이때 상대는 오직 욕동의 대상일 뿐이었다. 상대를 사용하여 행하는 자위행위와 다름이 없다. 그리고 각자에게 남는 모든 것은 단일체적인 한 사람의 심리내적 사건으로, 욕동의 만족 혹은 좌절(intra-psychic) 뿐이다.

 

하지만 사랑하는 두 남녀 사이에서 일어나는 상황은 매우 다르다. 남자는 여자를 욕동의 대상으로 보기도 하지만, 동시에 사랑의 눈빛으로 바라본다. 동시에 여자도 그 눈빛에 반응하는 주체가 되며, 남자를 사랑의 눈빛으로 바라보게 된다.

 

이제 남자는 여자의 눈빛의 대상이 된다. 그리고 만약 남자가 오직 자신의 욕동의 만족(intrapsychic satisfaction)에만 매달리지 않는다면, 남자는 여자에게서 욕동의 대상만이 아닌 또 다른 새로운 가능성을 인식하게 된다.

 

Trevarthen의 연구에서 아이와 어머니가 함께최고조의 반응을 만들어 내었듯이, 남자는 여자와 함께사랑의 세계를 만들어 갈 수 있음(inter-personal relation)을 느끼게 된다. 만약 그들이 결혼을 하게 되면 부부, 가정이라는 새로운 세계가 형성된다(intersubjectivity).

 

분석가와 피분석자 사이에서 투사적 동일시라는 분석 제3가 생겼듯이, 남자와 여자 사이에 사랑의 세계(연인 관계, 가정 등등)라는 관계 제3”(relational third)가 생겼다. 이런 3의 세계는 혼자서는 결코 형성할 수 없는 새로운 세계이다.

 

이번엔 그들이 형성한 새로운 3세계가 거꾸로 그들 각자의 주관성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한다. , 연인이 된 남자와 여자는 이제 예전의 남자와 여자가 아니다. 사랑하는 여자의 사랑을 받는 남자는 이제 홀로 지내던 그 남자가 아니다.

 

모습은 같을지 모르나, 그가 느끼는 자신에 대한 주관성(subjectivity)은 전혀 다른 것이다. 왜냐하면, 남자는 여자와 관계를 통해서만 자신이 남편이고, 아버지이고, 가장이며, 무엇보다 사랑받는 존재임을 알게 되기 때문이다. 그는 이제 예전 홀로이던 그 남자가 아니다.

 

또한 여자에 대해서도, 그녀가 바로 아내이고, 어머니이고, 주부이며, 무엇보다 사랑받는 나와 같은 존재임을 알게 된다. 이런 과정을 통해 상대(other)나와 같은 또 다른 주체(another subject)”임을 알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홀로 있는 한 사람만으로는 그들이 누구인지 알 수 없다. 오직 상호주관성의 관계를 통해서만 비로소 각자의 진정한 주관성이 무엇인지를 전체적으로 알 수 있다. 사랑하는 남녀를 사랑의 관계를 떠나서 그들이 누구인지 어떻게 알 수 있단 말인가!

 

Winnicott의 안아주는 환경(holding environment)도 어머니와 유아 사이에 생성된 관계 제3라고 말할 수 있다. 만약 어머니가 유아를 자신의 욕구에 따라 함부로 대하고 침범한다면 안아주는 환경은 형성될 수 없다.

 

어머니는 부적절한 어머니로 남게 되고, 유아도 그런 어머니에 맞춰 거짓 자기로 성장하게 될 것이다. 반대로 유아가 자신의 자발적인 몸짓을 할 때 어머니가 적절하게 필요한 반응을 해주면, 유아는 참 자기(real self)로 성장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안아주는 환경은 거꾸로 어머니가 충분히 좋은 어머니로 반응할 수 있게 해 주고 또한 자신이 그런 존재임을 느끼게 해준다(subjectivity). 그리고 유아도 자신의 참된 모습을 하나하나 펼칠 수 있게 해 준다(subjectivity).

 

어머니와 유아는 안아주는 환경(intersubjectivity) 속에서 잠재해 있던 충분히 좋은 어머니(good enough mother)로서의 가능성과 참 자기(real-self)로서의 잠재력을 함께 창조해간다.

분석상황도 이와 같다고 볼 수 있다.

 

분석가와 환자는 상호주관성 관계를 통해 안아주는 환경이라는 분석 제3자를 함께 형성한다. 안아주는 환경은 분석가를 <충분히 좋은 어머니와 같은 치료자>로 성장하게 해주며, 환자는 그런 분석가와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비로소 참 자기로서 성장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참 자기는 분석가와 관계에서 새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 어머니와 관계에서 발현이 되지 않았을 뿐 본래부터 유아에게 있던 잠재력이다. 결국 참 자기는 잠재력으로 존재하다가, 안아주는 환경으로서의 <어머니와 같은 분석가>와의 관계 속에서 발현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 안에 잠재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참 자기(real self)란 무엇이며, 어떻게 알 수 있고, 실현해 나갈 수 있는가???

 

 

다음 편에서는 구스타프 칼 융의 <분석심리학적 정신치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출처 >

최영민(2008) 상호주관성 정신분석 패러다임의 변화- 논문요약

 

< 참고문헌 >

Aron L. Symposium: meaning and practice of intersubjectivity in psychoanalysis. Psychoanal Dialogues 1996;6:591-598.

Aron L. Analytic impasse and the third: clinical implications of intersubjectivity theory. Int J Psychoanal 2006;87:349-368.

Benjamin J. An outline of intersubjectivity: the development of recognition., Psychoanal Psycho 1990;7:33-46.l

Ogden TH. The analytical third: working with intersubjective clinical facts. Int J Psychoanal Q 1994;75:3-20.

Ogden TH. The analytic third: Implications for psychoanalytic theory and technique. Psychoanal Q 2004;73:167-195.

Trevarthen C. Descriptive analysis of infant communicative behavior. In: Schaffer HR. Studies in mother-infant interaction. London: Academic Press;1977.

 

2
0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